필수 근무시간 설정
구성원 근무시간 설정 > 필수 근무시간 설정 메뉴에서는 월별 단위의 구성원 필수 근무시간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주의
단축근무 설정 정보와 관계없이 필수 근무시간(소정근로시간)이 반영됩니다.
필수 근무시간 설정 수정하기
1.
구성원 근무시간 설정 > 필수 근무시간 설정 메뉴에서 등록된 필수 근무시간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조회 조건 설정 시 특정 내역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그림. 구성원 필수 근무시간 조회
안내
단축근무 유급/무급휴가에 따라 필수 근무시간 정보에 차이가 발생합니다.
•
유급휴가: 기존의 월 필수 근무시간 h (단축된 월 필수 근무시간 h)
•
무급휴가: 단축된 월 필수 근무시간 h
2.
조회결과 내역에서 근무시간을 수정할 구성원의 이름(ID)를 클릭합니다.
그림. 구성원 필수 근무시간 수정
3.
변경할 근무시간을 수정한 후 [수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
근무안함 선택 시, 해당 일자의 변경 근무시간이 Day off됩니다.
•
단축근무가 적용되었을 경우, 설정 근무시간 하단 영역에 단축근무가 나타납니다.
•
근무 유형제가 적용된 경우 해당 일자의 근무시간을 수정할 수 없습니다.
그림. 구성원 필수 근무시간 수정
단축근무 설정
구성원 근무시간 설정 > 단축근무 설정 메뉴에서 회사의 정책에 따라 단축근무 유형별로 적용되는 구성원을 추가/관리할 수 있습니다.
주의
단축근무 구성원 설정 시 유의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단축근무는 설정한 후 익일부터 적용이 가능하며, 단축근무 적용 기간은 00:00:00 ~ 종료일 23:59:59까지 입니다.
•
단축근무에 해당되는 구성원은 해당 기간동안 설정된 월 기본근무시간에서 단축시간만큼 차감되어 일 근무시간이 재설정됩니다.
•
단축근무 적용 기간에 근무에 영향이 있는 옵션(구성원의 휴가, 표준 외 근무, 비근무 시간)이 없어야 합니다.
단축근무 유형 추가하기
1.
구성원 근무시간 설정 > 단축근무 설정 메뉴에서 [단축근무 유형 설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단축근무 설정
2.
단축근무 설정 화면에서 [신규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
임신기, 육아기, 가족돌봄 단축근무는 근태관리 서비스에서 기본값으로 제공하며, 사용 여부는 사용 상태로 제공합니다.
•
기본값으로 제공하는 단축근무 유형은 삭제가 불가능합니다.
그림. 단축근무 유형 신규 추가
단축근무 | 설명 |
임신기 | 임신 후 12주 이내 또는 36주 이후에 있는 여성 근로자가 1일 2시간까지 근로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제도
- 임신중인 구성원은 근로 기준법 제 70조에 따라 야간/휴일 근무 금지 |
육아기 |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자녀가 있는 근로자가 자녀양육을 위해 근로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제도 |
가족돌봄 | 근로자가 가족의 질병, 사고, 노령으로 인한 간병 활동의 필요에 따라 근로시간 단축할 수 있는 제도 |
3.
항목들을 입력 및 설정한 후 [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단축근무 유형 신규 추가
신규 추가 | 설명 |
단축근무 가능 범위 | 단축근무 시간 설정 가능한 범위 설정 |
급여 지급 | 단축근무 기간동안 급여 지급 여부 설정
- 유급: 동일 고용형태인 구성원의 근무시간으로 급여 인정(단, 연장근무 적용 시 연장근무 인정 시간도 그에 따름)
- 무급: 단축된 근무시간만큼만 급여 지급 |
연장근무 적용 여부 | 단축근무 기간동안 연장근무 적용 여부 설정
- 적용: 해당월의 소정근무 (필수근무+고정OT) + 표준 외 근무로 월최대 근무 가능
- 미적용: 해당월의 소정근무 (필수근무+고정OT)만 근무 가능, 단축근무가 1일이상 포함 시 해당월 전체에 적용 |
야간/휴일 근무 허용 | 단축근무 기간동안 야간/휴일 근무 허용 여부 설정
- 연장근무 적용 여부 미적용 설정 시 설정 불가 |
단축시간 적용 | 단축시간 적용 설정 기준
- 근무 시작시간: 구성원의 근무 시작시간에서 단축근무시간만큼 차감
- 근무 종료시간: 구성원의 근무 종료시간에서 단축근무시간만큼 차감 |
단축근무 유형 수정하기
1.
구성원 근무시간 설정 > 단축근무 설정 메뉴에서 [단축근무 유형 설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단축근무 설정
2.
단축근무 설정 내역을 수정할 단축근무의 [수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
해당 단축근무를 사용중인 구성원이 있다면 수정 기능의 일부가 제한될 수 있습니다.
그림. 단축근무 유형 설정 수정
3.
변경할 내역을 수정한 후 [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단축근무 유형 설정 수정 및 저장
단축근무 유형 삭제하기
1.
구성원 근무시간 설정 > 단축근무 설정 메뉴에서 [단축근무 유형 설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단축근무 설정
2.
단축근무 설정 내역을 삭제할 단축근무의 [삭제] 버튼을 클릭합니다.
•
해당 단축근무를 사용중인 구성원이 있다면 삭제 기능의 일부가 제한될 수 있습니다.
그림. 단축근무 삭제
단축근무 변경 이력 조회하기
1.
구성원 근무시간 설정 > 단축근무 설정 메뉴에서 [단축근무 유형 설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단축근무 설정
2.
설정된 단축근무의 변경 이력을 확인하기 위해 [변경 이력] 버튼을 클릭하여 조회합니다.
그림. 단축근무 변경 이력 조회
단축근무 대상자 등록하기
1.
구성원 근무시간 설정 > 단축근무 설정 메뉴에서 [대상자 등록]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단축근무 대상자 등록
2.
설정 항목들을 작성 후 [적용] 버튼을 클릭하여 구성원의 단축근무 설정을 적용합니다.
그림. 단축근무 대상자 세부 설정 및 적용
단축근무 설정 내역 수정하기
1.
구성원 근무시간 설정 > 단축근무 설정 메뉴에서 단축근무를 수정할 대상자의 [수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단축근무 설정 내역 수정
2.
구성원의 단축근무 설정 내역을 수정한 후 [적용]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단축근무 설정 내역 수정 및 적용
단축근무 삭제하기
1.
구성원 근무시간 설정 > 단축근무 설정 메뉴에서 지정한 단축근무를 삭제할 대상자의 [삭제] 버튼을 클릭하여 삭제합니다.
•
단축근무 삭제는 단축근무 기간이 시작하지 않았을 때만 삭제할 수 있습니다.
그림. 단축근무 삭제
단축근무 종료하기
1.
구성원 근무시간 설정 > 단축근무 설정 메뉴에서 단축근무를 종료할 대상자의 [종료] 버튼을 클릭합니다.
•
종료 상태로 변경 시 단축근무 기간의 종료일자는 해당일자로 변경됩니다.
그림. 단축근무 종료
근무 유형별 설정
구성원 근무시간 설정 > 근무 유형별 설정 메뉴에서는 유연 근무제에 해당되는 근무 유형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
안내
유연 근무제에 해당되는 구성원에게 일 근무계획, 출퇴근 기능, 비근무, 표준 외 근무 등 근태와 직접적인 영향이 있는 기능이 제공되지 않습니다.
•
유연 근무제가 적용되는 기간 동안 근무 시간 실적은 근무 유형 설정 전에 계획한 일 근무 계획 시간만큼 인정됩니다.
◦
일 근무 계획을 설정하지 않은 경우, 월 근무 계획 시간만큼 필수로 인정됩니다.
•
관리자는 관리자 페이지의 구성원 근무시간 설정 > 필수 근무시간 설정 메뉴에서 유연 근무제에 해당되는 구성원의 필수 근무 시간을 설정 및 관리할 수 없습니다.
근무 유형 추가하기
1.
구성원 근무시간 설정 > 근무 유형별 설정 메뉴에서 [근무 유형 설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근무 유형별 설정
2.
근무 유형별 설정 화면에서 [신규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
재량근로제, 간주근로 시간제를 기본값으로 제공되며, 기본 제공되는 근무 유형은 삭제할 수 없습니다.
그림. 근무 유형 신규 추가
3.
항목들을 입력 및 설정한 후 [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
근무 유형명은 다른 근무 유형명과 중복되어서는 안됩니다.
그림. 근무 유형 신규 추가 및 설정
근무 유형 수정하기
1.
구성원 근무시간 설정 > 근무 유형별 설정 메뉴에서 [근무 유형 설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근무 유형별 설정
2.
근무 유형별 설정 화면에서 수정할 근무 유형의 [수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근무 유형 수정
3.
변경할 내역을 수정한 후 [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
현재 적용중이거나 적용 예정인 근무 유형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능합니다.
그림. 근무 유형 저장
근무 유형 삭제하기
1.
구성원 근무시간 설정 > 근무 유형별 설정 메뉴에서 [근무 유형 설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근무 유형별 설정
2.
근무 유형별 설정 화면에서 삭제할 근무 유형의 [삭제]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근무 유형 삭제
구성원의 근무 유형 추가하기
1.
구성원 근무시간 설정 > 근무 유형별 설정 메뉴에서 근무 유형을 설정한 구성원의 [설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
조회 조건 설정 시 특정 내역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그림. 구성원 근무 유형 설정
2.
근무 유형별 설정 내역 팝업창에서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구성원 근무 유형 설정 추가
3.
항목들을 입력 및 설정한 후 [적용]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구성원 근무 유형 설정 추가 및 적용
안내
근무유형 설정이 불가능한 경우
•
설정 기간 내 다른 근무 유형 및 단축 근무 대상자로 적용되는 경우
•
설정 기간 내 표준 외 근무, 비근무 내역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
설정 기간 내 결재중인 일 근무시간 변경, 표준 외 근무, 비근무 내역이 존재하는 경우
구성원의 근무 유형 수정하기
1.
구성원 근무시간 설정 > 근무 유형별 설정 메뉴에서 근무 유형을 설정한 구성원의 [설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
조회 조건 설정 시 특정 내역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그림. 구성원 근무 유형 설정
2.
근무 유형별 설정 내역 팝업창에서 [수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구성원 근무 유형 수정
3.
항목들을 입력 및 설정한 후 [적용]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구성원 근무 유형 설정 수정 및 적용
안내
근무유형 설정이 불가능한 경우
•
설정 기간 내 다른 근무 유형 및 단축 근무 대상자로 적용되는 경우
•
설정 기간 내 표준 외 근무, 비근무 내역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
설정 기간 내 결재중인 일 근무시간 변경, 표준 외 근무, 비근무 내역이 존재하는 경우
구성원의 근무 유형 삭제하기
1.
구성원 근무시간 설정 > 근무 유형별 설정 메뉴에서 근무 유형을 설정한 구성원의 [설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
조회 조건 설정 시 특정 내역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그림. 구성원 근무 유형 설정
2.
근무 유형별 설정 내역 팝업창에서 [삭제] 버튼을 클릭하여 등록된 근무 유형을 삭제합니다.
그림. 구성원 근무 유형 삭제
고정OT 설정
구성원 근무시간 설정 > 고정OT 설정 메뉴에서는 포괄 임금제를 시행하는 회사에서 운영하는 근로시간에 포함되는 고정OT(Over Time)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
고용형태에 따라 월별 고정OT를 다르게 지정 할 수 있으며, 회사 또는 개인의 사정에 의한 구성원 별 고정OT 설정도 가능합니다.
고정OT 추가하기
1.
구성원 근무시간 설정 > 고정OT 설정 메뉴에서 [고용 형태 설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고정OT 설정
2.
고정OT 설정 화면에서 [신규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고정OT 신규추가
3.
항목들을 입력 및 설정한 후 [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고정OT 신규 추가 설정 및 저장
고정OT 수정하기
1.
구성원 근무시간 설정 > 고정OT 설정 메뉴에서 [고용 형태 설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고정OT 설정
2.
고정OT 설정 화면에서 수정할 고정OT 설정 내역의 [수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고정OT 수정
3.
항목들을 수정한 후 [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고정OT 설정 수정 및 저장
고정OT 삭제하기
1.
구성원 근무시간 설정 > 고정OT 설정 메뉴에서 [고용 형태 설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고정OT 설정
2.
고정OT 설정 화면에서 삭제할 고정OT 설정 내역의 [삭제]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고정OT 삭제
월별 고정OT 설정하기
1.
구성원 근무시간 설정 > 고정OT 설정 메뉴에서 월별 설정 탭을 클릭합니다.
그림. 고정OT 월별 설정
2.
수정할 월의 고용형태의 [연필]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그림. 월별 고정OT 수정
3.
값을 수정한 후 [
]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월별 고정OT 수정 완료
서비스 시점 | 화면 구성 |
서비스 오픈 전 | 해당 월의 데이터가 없으며, 수정 기능 사용 불가 |
당월 및 익월의 근무 계획이 생성된 시점(21일 이후) | 이전 설정 값이 적용되며, 수정 기능 사용 불가 |
익월의 근무 계획이 생성되기 전(현재월 기준 20일까지) | 고용 형태별로 수정 가능 |
구성원별 고정OT 설정하기
1.
구성원 근무시간 설정 > 고정OT 설정 메뉴에서 구성원별 설정 탭을 클릭하여 조회 내역을 확인합니다.
•
조회 조건 선택 시 특정 구성원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그림. 구성월별 고정OT 설정
2.
수정할 구성원의 [수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구성원별 고정OT 수정
3.
값을 수정한 후 [적용]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구성원별 고정OT 수정 및 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