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용 카카오워크
home
카카오워크 사용자
home
🔖

구성원 근무시간 설정

필수 근무시간 설정

구성원 근무시간 설정 > 필수 근무시간 설정 메뉴에서는 월별 단위의 구성원 필수 근무시간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주의 단축근무 설정 정보와 관계없이 필수 근무시간(소정근로시간)이 반영됩니다.

필수 근무시간 설정 수정하기

1.
구성원 근무시간 설정 > 필수 근무시간 설정 메뉴에서 등록된 필수 근무시간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조회 조건 설정 시 특정 내역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그림. 구성원 필수 근무시간 조회
안내 단축근무 유급/무급휴가에 따라 필수 근무시간 정보에 차이가 발생합니다.
유급휴가: 기존의 월 필수 근무시간 h (단축된 월 필수 근무시간 h)
무급휴가: 단축된 월 필수 근무시간 h
2.
조회결과 내역에서 근무시간을 수정할 구성원의 이름(ID)를 클릭합니다.
그림. 구성원 필수 근무시간 수정
3.
변경할 근무시간을 수정한 후 [수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근무안함 선택 시, 해당 일자의 변경 근무시간이 Day off됩니다.
단축근무가 적용되었을 경우, 설정 근무시간 하단 영역에 단축근무가 나타납니다.
근무 유형제가 적용된 경우 해당 일자의 근무시간을 수정할 수 없습니다.
그림. 구성원 필수 근무시간 수정

단축근무 설정

구성원 근무시간 설정 > 단축근무 설정 메뉴에서 회사의 정책에 따라 단축근무 유형별로 적용되는 구성원을 추가/관리할 수 있습니다.
주의
단축근무 구성원 설정 시 유의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축근무는 설정한 후 익일부터 적용이 가능하며, 단축근무 적용 기간은 00:00:00 ~ 종료일 23:59:59까지 입니다.
단축근무에 해당되는 구성원은 해당 기간동안 설정된 월 기본근무시간에서 단축시간만큼 차감되어 일 근무시간이 재설정됩니다.
단축근무 적용 기간에 근무에 영향이 있는 옵션(구성원의 휴가, 표준 외 근무, 비근무 시간)이 없어야 합니다.

단축근무 유형 추가하기

1.
구성원 근무시간 설정 > 단축근무 설정 메뉴에서 [단축근무 유형 설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단축근무 설정
2.
단축근무 설정 화면에서 [신규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임신기, 육아기, 가족돌봄 단축근무는 근태관리 서비스에서 기본값으로 제공하며, 사용 여부는 사용 상태로 제공합니다.
기본값으로 제공하는 단축근무 유형은 삭제가 불가능합니다.
그림. 단축근무 유형 신규 추가
단축근무
설명
임신기
임신 후 12주 이내 또는 36주 이후에 있는 여성 근로자가 1일 2시간까지 근로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제도 - 임신중인 구성원은 근로 기준법 제 70조에 따라 야간/휴일 근무 금지
육아기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자녀가 있는 근로자가 자녀양육을 위해 근로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제도
가족돌봄
근로자가 가족의 질병, 사고, 노령으로 인한 간병 활동의 필요에 따라 근로시간 단축할 수 있는 제도
3.
항목들을 입력 및 설정한 후 [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단축근무 유형 신규 추가
신규 추가
설명
단축근무 가능 범위
단축근무 시간 설정 가능한 범위 설정
급여 지급
단축근무 기간동안 급여 지급 여부 설정 - 유급: 동일 고용형태인 구성원의 근무시간으로 급여 인정(단, 연장근무 적용 시 연장근무 인정 시간도 그에 따름) - 무급: 단축된 근무시간만큼만 급여 지급
연장근무 적용 여부
단축근무 기간동안 연장근무 적용 여부 설정 - 적용: 해당월의 소정근무 (필수근무+고정OT) + 표준 외 근무로 월최대 근무 가능 - 미적용: 해당월의 소정근무 (필수근무+고정OT)만 근무 가능, 단축근무가 1일이상 포함 시 해당월 전체에 적용
야간/휴일 근무 허용
단축근무 기간동안 야간/휴일 근무 허용 여부 설정 - 연장근무 적용 여부 미적용 설정 시 설정 불가
단축시간 적용
단축시간 적용 설정 기준 - 근무 시작시간: 구성원의 근무 시작시간에서 단축근무시간만큼 차감 - 근무 종료시간: 구성원의 근무 종료시간에서 단축근무시간만큼 차감

단축근무 유형 수정하기

1.
구성원 근무시간 설정 > 단축근무 설정 메뉴에서 [단축근무 유형 설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단축근무 설정
2.
단축근무 설정 내역을 수정할 단축근무의 [수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해당 단축근무를 사용중인 구성원이 있다면 수정 기능의 일부가 제한될 수 있습니다.
그림. 단축근무 유형 설정 수정
3.
변경할 내역을 수정한 후 [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단축근무 유형 설정 수정 및 저장

단축근무 유형 삭제하기

1.
구성원 근무시간 설정 > 단축근무 설정 메뉴에서 [단축근무 유형 설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단축근무 설정
2.
단축근무 설정 내역을 삭제할 단축근무의 [삭제] 버튼을 클릭합니다.
해당 단축근무를 사용중인 구성원이 있다면 삭제 기능의 일부가 제한될 수 있습니다.
그림. 단축근무 삭제

단축근무 변경 이력 조회하기

1.
구성원 근무시간 설정 > 단축근무 설정 메뉴에서 [단축근무 유형 설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단축근무 설정
2.
설정된 단축근무의 변경 이력을 확인하기 위해 [변경 이력] 버튼을 클릭하여 조회합니다.
그림. 단축근무 변경 이력 조회

단축근무 대상자 등록하기

1.
구성원 근무시간 설정 > 단축근무 설정 메뉴에서 [대상자 등록]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단축근무 대상자 등록
2.
설정 항목들을 작성 후 [적용] 버튼을 클릭하여 구성원의 단축근무 설정을 적용합니다.
그림. 단축근무 대상자 세부 설정 및 적용

단축근무 설정 내역 수정하기

1.
구성원 근무시간 설정 > 단축근무 설정 메뉴에서 단축근무를 수정할 대상자의 [수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단축근무 설정 내역 수정
2.
구성원의 단축근무 설정 내역을 수정한 후 [적용]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단축근무 설정 내역 수정 및 적용

단축근무 삭제하기

1.
구성원 근무시간 설정 > 단축근무 설정 메뉴에서 지정한 단축근무를 삭제할 대상자의 [삭제] 버튼을 클릭하여 삭제합니다.
단축근무 삭제는 단축근무 기간이 시작하지 않았을 때만 삭제할 수 있습니다.
그림. 단축근무 삭제

단축근무 종료하기

1.
구성원 근무시간 설정 > 단축근무 설정 메뉴에서 단축근무를 종료할 대상자의 [종료] 버튼을 클릭합니다.
종료 상태로 변경 시 단축근무 기간의 종료일자는 해당일자로 변경됩니다.
그림. 단축근무 종료

근무 유형별 설정

구성원 근무시간 설정 > 근무 유형별 설정 메뉴에서는 유연 근무제에 해당되는 근무 유형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
안내
유연 근무제에 해당되는 구성원에게 일 근무계획, 출퇴근 기능, 비근무, 표준 외 근무 등 근태와 직접적인 영향이 있는 기능이 제공되지 않습니다.
유연 근무제가 적용되는 기간 동안 근무 시간 실적은 근무 유형 설정 전에 계획한 일 근무 계획 시간만큼 인정됩니다.
일 근무 계획을 설정하지 않은 경우, 월 근무 계획 시간만큼 필수로 인정됩니다.
관리자는 관리자 페이지의 구성원 근무시간 설정 > 필수 근무시간 설정 메뉴에서 유연 근무제에 해당되는 구성원의 필수 근무 시간을 설정 및 관리할 수 없습니다.

근무 유형 추가하기

1.
구성원 근무시간 설정 > 근무 유형별 설정 메뉴에서 [근무 유형 설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근무 유형별 설정
2.
근무 유형별 설정 화면에서 [신규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재량근로제, 간주근로 시간제를 기본값으로 제공되며, 기본 제공되는 근무 유형은 삭제할 수 없습니다.
그림. 근무 유형 신규 추가
3.
항목들을 입력 및 설정한 후 [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근무 유형명은 다른 근무 유형명과 중복되어서는 안됩니다.
그림. 근무 유형 신규 추가 및 설정

근무 유형 수정하기

1.
구성원 근무시간 설정 > 근무 유형별 설정 메뉴에서 [근무 유형 설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근무 유형별 설정
2.
근무 유형별 설정 화면에서 수정할 근무 유형의 [수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근무 유형 수정
3.
변경할 내역을 수정한 후 [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현재 적용중이거나 적용 예정인 근무 유형은 수정 및 삭제가 불가능합니다.
그림. 근무 유형 저장

근무 유형 삭제하기

1.
구성원 근무시간 설정 > 근무 유형별 설정 메뉴에서 [근무 유형 설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근무 유형별 설정
2.
근무 유형별 설정 화면에서 삭제할 근무 유형의 [삭제]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근무 유형 삭제

구성원의 근무 유형 추가하기

1.
구성원 근무시간 설정 > 근무 유형별 설정 메뉴에서 근무 유형을 설정한 구성원의 [설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조회 조건 설정 시 특정 내역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그림. 구성원 근무 유형 설정
2.
근무 유형별 설정 내역 팝업창에서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구성원 근무 유형 설정 추가
3.
항목들을 입력 및 설정한 후 [적용]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구성원 근무 유형 설정 추가 및 적용
안내
근무유형 설정이 불가능한 경우
설정 기간 내 다른 근무 유형 및 단축 근무 대상자로 적용되는 경우
설정 기간 내 표준 외 근무, 비근무 내역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설정 기간 내 결재중인 일 근무시간 변경, 표준 외 근무, 비근무 내역이 존재하는 경우

구성원의 근무 유형 수정하기

1.
구성원 근무시간 설정 > 근무 유형별 설정 메뉴에서 근무 유형을 설정한 구성원의 [설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조회 조건 설정 시 특정 내역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그림. 구성원 근무 유형 설정
2.
근무 유형별 설정 내역 팝업창에서 [수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구성원 근무 유형 수정
3.
항목들을 입력 및 설정한 후 [적용]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구성원 근무 유형 설정 수정 및 적용
안내
근무유형 설정이 불가능한 경우
설정 기간 내 다른 근무 유형 및 단축 근무 대상자로 적용되는 경우
설정 기간 내 표준 외 근무, 비근무 내역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설정 기간 내 결재중인 일 근무시간 변경, 표준 외 근무, 비근무 내역이 존재하는 경우

구성원의 근무 유형 삭제하기

1.
구성원 근무시간 설정 > 근무 유형별 설정 메뉴에서 근무 유형을 설정한 구성원의 [설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조회 조건 설정 시 특정 내역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그림. 구성원 근무 유형 설정
2.
근무 유형별 설정 내역 팝업창에서 [삭제] 버튼을 클릭하여 등록된 근무 유형을 삭제합니다.
그림. 구성원 근무 유형 삭제

고정OT 설정

구성원 근무시간 설정 > 고정OT 설정 메뉴에서는 포괄 임금제를 시행하는 회사에서 운영하는 근로시간에 포함되는 고정OT(Over Time)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고용형태에 따라 월별 고정OT를 다르게 지정 할 수 있으며, 회사 또는 개인의 사정에 의한 구성원 별 고정OT 설정도 가능합니다.

고정OT 추가하기

1.
구성원 근무시간 설정 > 고정OT 설정 메뉴에서 [고용 형태 설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고정OT 설정
2.
고정OT 설정 화면에서 [신규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고정OT 신규추가
3.
항목들을 입력 및 설정한 후 [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고정OT 신규 추가 설정 및 저장

고정OT 수정하기

1.
구성원 근무시간 설정 > 고정OT 설정 메뉴에서 [고용 형태 설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고정OT 설정
2.
고정OT 설정 화면에서 수정할 고정OT 설정 내역의 [수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고정OT 수정
3.
항목들을 수정한 후 [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고정OT 설정 수정 및 저장

고정OT 삭제하기

1.
구성원 근무시간 설정 > 고정OT 설정 메뉴에서 [고용 형태 설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고정OT 설정
2.
고정OT 설정 화면에서 삭제할 고정OT 설정 내역의 [삭제]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고정OT 삭제

월별 고정OT 설정하기

1.
구성원 근무시간 설정 > 고정OT 설정 메뉴에서 월별 설정 탭을 클릭합니다.
그림. 고정OT 월별 설정
2.
수정할 월의 고용형태의 [연필]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그림. 월별 고정OT 수정
3.
값을 수정한 후 [ ]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월별 고정OT 수정 완료
서비스 시점
화면 구성
서비스 오픈 전
해당 월의 데이터가 없으며, 수정 기능 사용 불가
당월 및 익월의 근무 계획이 생성된 시점(21일 이후)
이전 설정 값이 적용되며, 수정 기능 사용 불가
익월의 근무 계획이 생성되기 전(현재월 기준 20일까지)
고용 형태별로 수정 가능

구성원별 고정OT 설정하기

1.
구성원 근무시간 설정 > 고정OT 설정 메뉴에서 구성원별 설정 탭을 클릭하여 조회 내역을 확인합니다.
조회 조건 선택 시 특정 구성원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그림. 구성월별 고정OT 설정
2.
수정할 구성원의 [수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구성원별 고정OT 수정
3.
값을 수정한 후 [적용]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구성원별 고정OT 수정 및 적용
목차
FAQ 바로가기
관련 문서
 근태관리 서비스  근태관리  사용자 관리  근무 제도 및 정책 설정  구성원 근무시간 설정  일정 설정  휴가 설정  휴가 현황  서비스 설정
Kakao i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Copyright Kakao Enterprise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