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무 제도 설정
근무 제도 설정 메뉴에서는 회사의 근무 정책과 휴가/휴직 정책에 관한 설정 기능을 제공합니다.
주의
근무 정책 설정을 완료해야만, 근태관리 서비스 이용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근무 정책 설정
근무 제도 설정 > 근무 정책 설정 메뉴에서는 회사의 근무 정책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관리자가 설정한 근무제도 및 옵션에 따라 사용자 화면 구성 및 기능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정책 설정하기
근무제도 설정 > 근무 정책 설정 메뉴에서 우리 회사의 근무 정책 및 근무 제도를 설정합니다. 근무 제도에 따라 옵션값을 설정하면, 해당 근무 제도에 맞춰 근태관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카카오워크 근태관리 서비스에서 지원하고 있는 근무 제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설명 |
시차출퇴근제 | 회사가 제시하는 근무시간 범위에 맞춰 근태를 관리하는 근무제 |
1개의 출퇴근 시간대로 운영되는 회사
- 1일 법정 근로시간(8시간)을 기준으로 회사가 정한 하나의 출/퇴근 시간대로 운영
- 구성원은 근무계획 시간을 변경할 수 없고, 관리자가 지정한 근무시간 범위 안에서 근무 | |
여러가지 출퇴근 시간대로 운영되는 회사
- 구성원이 1일 법정 근로시간(8시간)을 근무하지만, 회사가 정한 여러 출/퇴근 시간대 안에서 자율적으로 출근함
- 구성원은 회사가 정한 근무 시간대 중 하나를 선택하여 근무 계획을 세움 | |
선택근무제
(근무시간 범위 제한) | 최소/최대근무시간, 코어 타임 등의 범주 안에서 시행되는 근무제 |
주 5일(40시간) 동안 회사가 정의한 범주 안에서 구성원들이 자유롭게 출퇴근 시간을 정하여 근무하는 회사
- 구성원이 1일 근무시간을 회사가 정한 시간 내에서 자유롭게 조절하며 주 5일 동안 40시간을 근무함
- 구성원은 관리자가 지정한 근무시간 범위 안에서 근무시간을 자유롭게 조정하여 근무함 | |
주 5일(40시간) 동안 구성원들이 자유롭게 출퇴근 시간을 정하여 근무하는 회사
- 구성원이 회사가 정한 1일 근무시간에 따라 자유롭게 출/퇴근하며 주 5일 동안 40시간을 근무함
- 구성원은 주 40시간 범위(월 필수 근무시간) 안에서 출퇴근 시간대를 자유롭게 조정하여 근무함 | |
주 5일이 아닌 4일 이하(40시간) 동안 구성원들이 출퇴근 시간을 정하여 집중적으로 근무하는 회사
- 구성원이 주 40시간 근무를 유지하지만 1주일 기준 근무일을 5일보다 짧은 기간 동안 집중적으로 근무함
- 구성원이 근무하지 않는 요일은 최소근무시간을 조정하여 Day-off 함으로써 근무시간을 관리함 | |
선택근무제
(완전자율) | 별도의 범위 제한 없이 구성원이 모든 기준을 자유롭게 설정하는 근무제
- 비근무 시간이 화면에 노출됨 |
회사가 기준을 정하지 않고 구성원들이 출퇴근 시간을 자유롭게 정하여 근무하는 회사
- 회사가 기준을 정하지 않고 구성원이 자유롭게 주 40시간을 근무함
- 구성원은 근무시간을 자유롭게 설정하여 월 필수 근무시간을 채우며, 근무시간대의 제약 없이 근무함 |
통상근무제/시차출퇴근제
그림. 통상근무제/시차출퇴근제 근무 정책 설정
구분 | 설명 |
① 근무제도 사용 설정 | 주 52시간, 비근무시간 , 고정OT 사용 여부 설정 |
주 52시간 등록 제한 | 매 주(일~토) 기준의 근무시간을 주 52시간 기준으로 관리
- 시스템상에서는 월 근무시간을 기준으로 최대 근무시간 제한 |
비근무 시간 등록 사용 여부 | 계획 근무 시간 중 외출, 병원 진료 등으로 실제 근무시간이 아닌 시간을 총 근무시간에서 제외하는 기능
- 통상 근무제의 경우, 해당 기능 미사용 권장 |
고정OT 사용 여부 | 사용 설정 시, 소정 근로시간에 OT시간 포함
- 포괄 근로제를 사용하는 경우 고용유형(정규직, 인턴 등)에 따른 고정OT 설정 가능 |
② 보상 배율 기준 설정 | 초과 근무 시 보상할 시간 배율 작성
- 근로기준법 제 56조에 근거하여 보상배율은 시간대에 따라, 평일 초과 근무(22시 전/후)와 휴무일의 초과 근무(8시간 이내, 22시 전/후)로 구분하여 설정
ex) 평일 야간 근무 발생 시 기본시간에서 0.5시간 추가로 인정하는 경우, 1.5 입력 |
③ 근무 제도 설정 | 근무 제도 설정 옵션으로 시차출퇴근제 설정 |
일 근무 시작시간 | 업무 시작시간 설정
- 업무 시작시간 이전의 근무 내역은 전일 근무에 포함
ex) 6시로 설정 시 24시를 초과한 근무 발생시에도 익일 6시 이전까지 전일 근무에 포함 |
근무 등록(최소 단위) | 근무 등록 시 최소 단위 기준
- 지각시간 차감 기준 단위 |
일 기준 근무 시간 | 하루의 근무시간이며, 월 단위의 근무 필수시간 기준
- 통상근무제의 경우, 일 기준 근무시간을 1개의 시간대로 설정
- 시차출근제의 경우, 2개 이상의 일 기준 근무시간을 기록 및 생성하여 근무시간 설정
- 일 기준 근무 시작 시간 선택 시, 종료 시간 자동으로 설정(근로기준법에서 정의하는 8시간을 기본값으로 하며 변경 불가) |
④ 보상휴가 설정 | 보상휴가 사용 여부 설정 |
보상휴가 사용 여부 | 연장 근로, 야간 근로, 휴일 근로를 한 직원들을 대상으로 임금 대신 지급하는 휴가제도
- 보상휴가 연장 기간은 1~36개월 중 선택 가능
- 기간 내 사용하지 못한 보상휴가 잔여분은 수당으로 지급
- 보상휴가 설정은 근무 제도 설정 > 휴가 정책 설정 메뉴에서 휴가 정보 입력 |
⑤ 휴게시간 설정 | 근로시간에 따른 휴게시간 설정 |
휴게시간 부여 기준 | 근로기준법상의 기준에 의하여 근무시간 4시간 기준 30분 이상, 8시간 기준 60분 이상, 12시간 기준 90분 이상 부여 |
선택근무제/자율출퇴근제/집약근무제
그림. 선택근무제/자율출퇴근제/집약근무제 근무 정책 설정
구분 | 설명 |
① 근무제도 사용 설정 | 주 52시간, 비근무시간 , 고정OT 사용 여부 설정 |
주 52시간 등록 제한 | 매 주(일~토) 기준의 근무시간을 주 52시간 기준으로 관리
- 시스템상에서는 월 근무시간을 기준으로 최대 근무시간 제한 |
비근무 시간 등록 사용 여부 | 계획 근무 시간 중 외출, 병원 진료 등으로 실제 근무시간이 아닌 시간을 총 근무시간에서 제외하는 기능 |
고정OT 사용 여부 | 사용 설정 시, 소정 근로시간에 OT시간 포함
- 포괄 근로제를 사용하는 경우 고용유형(정규직, 인턴 등)에 따른 고정OT 설정 가능 |
② 보상 배율 기준 설정 | 초과 근무 시 보상할 시간 배율 작성
- 근로기준법 제 56조에 근거하여 보상배율은 시간대에 따라, 평일 초과 근무(22시 전/후)와 휴무일의 초과 근무(8시간 이내, 22시 전/후)로 구분하여 설정
ex) 평일 야간 근무 발생 시 기본시간에서 0.5시간 추가로 인정하는 경우, 1.5 입력 |
③ 근무 제도 설정 | 근무 제도 설정 옵션으로 선택 근무제(근무시간 범위 제한) 설정 |
일 근무 시작시간 | 업무 시작시간 설정
- 업무 시작시간 이전의 근무 내역은 전일 근무에 포함
ex) 6시로 설정 시 24시를 초과한 근무 발생시에도 익일 6시 이전까지 전일 근무에 포함 |
일 기준 근무 시간 | 하루의 근무시간이며, 월 단위의 근무 필수시간 기준
- 선택근무제(근무시간 범위 제한)의 경우, 1개의 일 기준 근무시간을 기록 및 생성하여 근무시간 설정
- 일 기준 근무 시작 시간 선택 시, 종료 시간 자동으로 설정(근로기준법에서 정의하는 8시간을 기본값으로 하며 변경 불가) |
근무 등록(최소 단위) | 근무 등록 시 최소 단위 기준
- 지각시간 차감 기준 단위 |
최소 근무시간 기준 사용 여부 | 일 최소 근무시간 사용 여부 및 기준 시간 설정
- 0(dayoff) ~ 7시간까지 설정 가능
- 선택근무제, 자율출퇴근제의 경우 사용으로 설정
- 집약근무제의 경우 사용 및 0시간으로 설정 |
최대 근무시간 기준 사용 여부 | 일 최대 근무시간 사용 여부 및 기준 시간 설정
- 9~12시간까지 설정 가능
- 선택근무제, 자율출퇴근제의 경우 사용으로 설정
- 집약근무제의 경우 사용 및 10시간 이상 설정 |
코어 타임 사용 여부 | 구성원의 필수 근무 시간대를 설정
- 선택근무제의 경우 사용으로 설정
- 자율출퇴근제, 집약근무제의 경우 미사용으로 설정 |
④ 보상휴가 설정 | 보상휴가 사용 여부 설정 |
보상휴가 사용 여부 | 연장 근로, 야간 근로, 휴일 근로를 한 직원들을 대상으로 임금 대신 지급하는 휴가제도
- 보상휴가 연장 기간은 1~36개월 중 선택 가능
- 기간 내 사용하지 못한 보상휴가 잔여분은 수당으로 지급
- 보상휴가 설정은 근무 제도 설정 > 휴가 정책 설정 메뉴에서 휴가 정보 입력 |
⑤ 휴게시간 설정 | 근로시간에 따른 휴게시간 설정 |
휴게시간 부여 기준 | 근로기준법상의 기준에 의하여 근무시간 4시간 기준 30분 이상, 8시간 기준 60분 이상, 12시간 기준 90분 이상 부여 |
완전자율근무제
그림. 완전자율근무제 근무 정책 설정
구분 | 설명 |
① 근무제도 사용 설정 | 주 52시간, 비근무시간 , 고정OT 사용 여부 설정 |
주 52시간 등록 제한 | 매 주(일~토) 기준의 근무시간을 주 52시간 기준으로 관리
- 시스템상에서는 월 근무시간을 기준으로 최대 근무시간 제한 |
비근무 시간 등록 사용 여부 | 계획 근무 시간 중 외출, 병원 진료 등으로 실제 근무시간이 아닌 시간을 총 근무시간에서 제외하는 기능 |
고정OT 사용 여부 | 사용 설정 시, 소정 근로시간에 OT시간 포함
- 포괄 근로제를 사용하는 경우 고용유형(정규직, 인턴 등)에 따른 고정OT 설정 가능 |
② 보상 배율 기준 설정 | 초과 근무 시 보상할 시간 배율 작성
- 근로기준법 제 56조에 근거하여 보상배율은 시간대에 따라, 평일 초과 근무(22시 전/후)와 휴무일의 초과 근무(8시간 이내, 22시 전/후)로 구분하여 설정
ex) 평일 야간 근무 발생 시 기본시간에서 0.5시간 추가로 인정하는 경우, 1.5 입력 |
③ 근무 제도 설정 | 근무 제도 설정 옵션으로 선택 근무제(완전 자율) 설정 |
일 근무 시작시간 | 업무 시작시간 설정
- 업무 시작시간 이전의 근무 내역은 전일 근무에 포함
ex) 6시로 설정 시 24시를 초과한 근무 발생시에도 익일 6시 이전까지 전일 근무에 포함 |
일 기준 근무 시간 | 하루의 근무시간이며, 월 단위의 근무 필수시간 기준
- 완전자율근무제의 경우, 1개의 일 기준 근무시간을 기록 및 생성하여 근무시간 설정
- 일 기준 근무 시작 시간 선택 시, 종료 시간 자동으로 설정(근로기준법에서 정의하는 8시간을 기본값으로 하며 변경 불가) |
근무 등록(최소 단위) | 근무 등록 시 최소 단위 기준
- 지각시간 차감 기준 단위 |
④ 보상휴가 설정 | 보상휴가 사용 여부 설정 |
보상휴가 사용 여부 | 연장 근로, 야간 근로, 휴일 근로를 한 직원들을 대상으로 임금 대신 지급하는 휴가제도
- 보상휴가 연장 기간은 1~36개월 중 선택 가능
- 기간 내 사용하지 못한 보상휴가 잔여분은 수당으로 지급
- 보상휴가 설정은 근무 제도 설정 > 휴가 정책 설정 메뉴에서 휴가 정보 입력 |
⑤ 휴게시간 설정 | 근로시간에 따른 휴게시간 설정 |
휴게시간 부여 기준 | 근로기준법상의 기준에 의하여 근무시간 4시간 기준 30분 이상, 8시간 기준 60분 이상, 12시간 기준 90분 이상 부여 |
정책 초기화하기
설정한 근무 정책을 변경하려면 근무 정책 설정을 초기화한 후 재설정을 진행해야 합니다. 근무 정책 설정을 초기화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의
근무 정책 초기화 시 사용자 이용데이터 전체 및 관리자 대부분의 데이터가 삭제되며 복원이 불가하므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1.
근무 제도 설정 > 근무 정책 설정 메뉴에서 [근무정책 설정 초기화]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근무 정책 초기화
2.
안내 사항 확인 및 문구를 입력하고 [초기화]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초기화 확인
휴가 정책 설정
근무 제도 설정 > 휴가 정책 설정 메뉴에서 휴가 정책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카카오워크 근태관리 서비스에서 제공하고 있는 휴가/휴직 정책은 다음과 같습니다.
휴가 정책 | 설명 |
휴가 | 연차휴가, 경조휴가(결혼, 생신, 장례), 출산휴가, 공가(훈련) 등을 제공하는 휴가제도 |
보상휴가 | 연장 근로, 야간 근로, 휴일 근로를 한 직원들을 대상으로 임금 대신 지급하는 휴가제도 |
포상휴가 | 구성원들의 사기충전 등의 목적으로 회사에서 제공하는 휴가제도 |
휴직 | 일정 기간동안 근무를 쉬는 제도
- 휴직이 승인되면 해당 일자만큼 근무 관련 기능이 비활성화됨 |
정책 등록하기
휴가/휴직 정책을 등록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근무 제도 설정 > 휴가 정책 설정 메뉴에서 [등록]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신규 휴가 정책 등록
2.
휴가/휴직 관리 가이드 필수 내역들을 선택 및 작성하고, [등록]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신규 휴가 정책 설정 및 등록
구분 | 설명 |
휴가/휴직 관리 | 휴가 정책 설정 옵션 |
분류 설정 (구분) | 구분값명으로 휴가, 포상휴가, 보상휴가, 휴직으로 구분 |
분류 설정 (대분류) | 구분에 따라 회사가 운영하고 있는 대분류명이 출력됨
- [분류 추가] 항목: 선택 시 새로운 분류 이름을 작성해 추가 |
분류 설정 (소분류) | 대분류 이하의 소분류명이 출력되며, 대분류명과 동일한 명칭이 존재 가능
- 소분류 설정을 기준으로 휴가 옵션 설정 가능 |
기준 설정 | 휴가/휴직 사용 단위 설정
- 보상휴가, 휴직은 일단위로 설정 |
기간 분할 사용 가능 여부 | 휴가를 분할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능
- 가능: 휴가 사용 시 종료일 변경 가능
- 불가: 휴가 사용 시 시작일 선택 시 종료일 변경 불가 |
공휴일 제외 여부 | 사용기간 내 공휴일 포함 시 제외 여부 |
첨부파일 | 휴가 신청 시 첨부파일 업로드 필수 여부
- 첨부파일은 최대 5개, 최대 20MB까지 첨부 가능 |
유/무급 | 유/무급 여부 선택
- 보상휴가 설정 시 유급으로 고정 |
신청 사유 입력 | 신청 사유에 대한 입력 여부 선택
- 미사용의 경우 사용자 내 사유 입력 영역 비노출 |
부여 휴가 차감 | 휴가 차감 여부 설정
- 휴직은 비활성화
- 포상휴는 활성화로 고정 |
결재 여부 | 해당 휴가 결재 진행 여부 설정
- 결재: 결재를 통해 휴가를 진행
- 미결재: 결재 없이 등록 후 바로 승인 |
적용 여부 | 제도 사용 여부에 대한 선택
- 미사용의 경우는 사용자 내 신청 항목에 표기되지 않음 |
정책 수정하기
등록한 휴가/휴직 정책을 수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근무 제도 설정 > 휴가 정책 설정 메뉴에서 수정할 휴가 정책의 [수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휴가 정책 수정
2.
휴가/휴직 관리 팝업창에서 정보를 수정하고, [수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휴가 정책 수정
정책 삭제하기
등록한 휴가/휴직 정책을 삭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안내
해당 휴가 정책으로 진행중인 결재 요청 건이 있는 경우에는 삭제가 불가능합니다.
1.
근무 제도 설정 > 휴가 정책 설정 메뉴에서 휴가 정책을 삭제합니다.
그림. 휴가 정책 삭제
a.
삭제할 휴가 정책의 [삭제] 버튼을 클릭합니다.
b.
팝업창에서 [예] 버튼을 클릭하여 삭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