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퇴근 기록
근태관리 > 출퇴근 기록 메뉴에서 구성원의 출퇴근 기록을 일자별로 확인 및 관리할 수 있습니다.
그림. 출퇴근 기록 내역
구분 | 설명 |
① 출퇴근 기록 현황 | 회사내 출근, 휴가, 휴직 현황 조회 |
② 출퇴근 기록 조회 | 기간, 부서/구성원, 출퇴근 여부, 휴가 사용 여부를 입력하여 조회 |
③ 액셀 다운로드 | 조회된 출퇴근 기록 내역을 액셀 파일로 다운로드 |
④ 출퇴근 기록 내역 | 출퇴근 기록 상세 조회 결과 |
출퇴근 기록 수정하기
1.
근태관리 > 출퇴근 기록 메뉴에서 사용자가 등록한 출퇴근 내역을 조회합니다.
•
조회 조건을 설정하여 특정 내역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그림. 출퇴근 내역 조회 조건 설정
2.
수정/변경 이력 칼럼에서 수정할 항목의 [수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출퇴근 내역 수정
3.
출근/퇴근/변경사유를 정보를 설정 후, [적용]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출퇴근 내역 수정 및 적용
출퇴근 기록 변경 조회하기
1.
조회된 출퇴근 기록 내역에서 [이력] 버튼을 클릭하여 출퇴근 기록 변경 이력을 확인합니다.
그림. 출퇴근 기록 변경 이력 확인
출퇴근 기록 액셀 다운로드하기
1.
[액셀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하여 조회된 출퇴근 기록 내역을 액셀 파일 형태로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그림. 출퇴근 기록 내역 다운로드
월 근무 내역
근태관리 > 월 근무 내역에서 근무제도에 따른 월 마감 데이터를 확인하고, 근무 내역을 액셀 파일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월 근무 내역 조회하기
1.
근태관리 > 월 근무 내역 메뉴에서 구성원의 월 근무 내역을 조회합니다.
•
조회 조건을 설정하여 특정 내역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그림. 월 근무 내역 조회
2.
승인된 유급시간 칼럼에서 항목을 클릭합니다.
•
보상시간은 [실 근무시간] ✕ [보상배율]로 계산되며, 보상배율은 관리자가 근무 정책 설정 시 지정한 보상배율에 따라 달라집니다.
그림. 월 근무 내역 상세 조회
안내
표준 외 근무 내역의 구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
평일근무: 평일 06 ~ 22시 내 발생한 표준 외 근무
•
평일(야간): 평일 22 ~ 06시까지 발생한 표준 외 근무
•
휴일근무: 휴일 06 ~ 22시 내 발생한 표준 외 근무
•
휴일(야간): 휴일 22 ~ 06시까지 발생한 표준 외 근무
월 근무 내역 다운로드하기
1.
조회된 월 근무 내역을 액셀 파일 형태로 다운로드 할 경우 [액셀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하여 다운로드합니다.
그림. 월 근무 내역 다운로드
근태 기준 설정
근태 관리 > 근태 기준 설정 메뉴에서는 출퇴근 기능 사용 여부 등 출근시간 기준 설정과 근무지 설정(GPS 또는 WiFi 사용)을 할 수 있습니다.
퇴근 처리 기준
•
구성원이 퇴근 시간 이후 퇴근 등록을 하지 않을 경우, 카카오워크 근태관리 Bot이 퇴근 처리 요청 알림을 발송합니다.
•
구성원이 퇴근 등록을 하지 않은 경우, 해당일의 근무시간은 실적으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출근시간 기준 설정하기
1.
근태관리 > 근태 기준 설정 > 출근시간 기준 설정 탭에서, 각 항목을 설정 후 [적용]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출근시간 기준 설정
구분 | 설명 |
출근시간 기준 설정 | 출퇴근 기능 사용 여부, 단축근무 대상자 출퇴근 기능 사용 여부, 지각 기준 사용 여부를 설정 |
출퇴근 기능 사용 여부 | 출퇴근 관리 기능 사용 여부 설정
- 출퇴근 기능 사용 시 근무지별 출퇴근 방법 설정 필요
- 출퇴근 기능 적용일시: 마지막 출근시간 기준 설정 적용 시간 안내 |
단축근무 대상자
출퇴근 기능 사용 여부 | 단축근무 대상자 출퇴근 기능 사용 여부 설정
- 출퇴근 기능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단축근무 대상자가 있는 경우 근로기준법 관련 증빙 제출을 위해 해당 구성원에게 출퇴근 기능 제공 |
지각 기준 사용 여부 | 지각 기준 사용 여부 설정
- 지각 기준 시간 설정 단위: 15분, 30분, 60분
- 설정한 지각 기준 시간 이상을 초과하여 출근 시, 근무시간 최소 단위의 배수만큼 근무실적에서 제외
지각 시간 실적 차감 예시
예시 1) 30분 최소단위 / 지각 기준 30분
- 09:00 근무계획 시작시간, 09:29분 출근 → 근무실적 제외 없음
- 09:00 근무계획 시작시간, 09:45분 출근 → 09:00 ~ 09:30 (30분) 근무 실적 제외
- 09:00 근무계획 시작시간, 10:02분 출근 → 09:00 ~ 10:00 (60분) 근무 실적 제외
예시 2) 30분 최소단위 / 지각 기준 15분
- 09:00 근무계획 시작시간, 09:15분 출근 → 근무실적 제외 없음
- 09:00 근무계획 시작시간, 09:20분 출근 → 09:00 ~ 09:30 (30분) 근무 실적 제외
- 09:00 근무계획 시작시간, 09:43분 출근 → 09:00 ~ 09:30 (30분) 근무 실적 제외
- 09:00 근무계획 시작시간, 09:48분 출근 → 09:00 ~ 10:00 (60분) 근무 실적 제외 |
퇴근 처리 기준
•
구성원이 퇴근 시간 이후 퇴근 등록을 하지 않을 경우, 카카오워크 근태관리 Bot이 퇴근 처리 요청 알림을 발송합니다.
•
구성원이 퇴근 등록을 하지 않은 경우, 해당일의 근무시간은 실적으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근무지 설정하기
근무지 신규 추가하기
1.
근태관리 > 근태 기준 설정 > 근무지 설정 탭으로 이동한 후, [신규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근무지 신규 추가
안내
근무지 등록 개수 제한은 없습니다.
2.
근무지 정보를 설정하고, [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신규 추가 근무지 정보 설정 및 저장
구분 | 설명 |
근무지 설정 | 출퇴근 기능 사용 시 기록을 위한 근무지 설정 |
사용여부 | 출퇴근 기록을 위한 근무지 사용 여부 설정 |
근무지 | 근무지 명칭 |
출퇴근 기록 방식 | 출퇴근 기록 방식 설정
- GPS와 WiFi 방식 모두 설정 가능
- GPS(위치 반경): 1개의 근무지에 위치 설정
- WiFi(IP대역): 출근 처리 기기(스마트폰, PC 등)의 네트워크(WiFi) 정보로 출근 처리 |
GPS (위치 반경)/좌표값 | 근무지에 대한 위치 설정 시 좌표값 자동으로 설정 |
좌표 반경(m) | 좌표값 기준으로 30m부터 300m까지 반경 설정
- 실제 위치 정보를 인식하는 좌표 반경을 충분히 테스트 한 후 적용 |
WiFi (IP대역) | 근무지의 WiFi (IP대역) 설정
- 1개의 근무지에 최대 10개의 네트워크 범위 설정 |
근무지 수정하기
1.
근태관리 > 근태 기준 설정 > 근무지 설정 탭으로 이동한 후, [수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근무지 설정 수정
2.
근무지 정보를 수정한 후 [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근무지 정보 수정 및 저장
근무지 삭제하기
1.
근태관리 > 근태 기준 설정 > 근무지 설정 탭으로 이동한 후, [삭제]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 근무지 삭제